비즈니스모델예술
Copycat
라잎햌어
2012. 2. 17. 20:46
p28)
하버드 경영학과 시어도어 레빗교수는 "다른 기업들이 이룬 혁신에 대응하기 위한 지침을 정책적으로 마련해 놓은 곳이 한 곳도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다. → 혁신적인 것을 모방하고도 시장점유율을 뺏어오는데 실패했다. 따라잡을 수 없을 정도로 능력이 차이가 나는데도 경쟁자의 사업모델을 맹복적으로 추종하다가 실패하는 기업들도 많다.
특수성) Distinctiveness
p43) 지난 30년동안 미국의 기업부문에서 창조된 최고의 가치는 불과 네가지 생각에 기초를 두고 있다.
→ 파워리테일링 (홈디포같은 초대형 소매 매장들), 메가브랜딩 (디즈니 같은 우산브랜딩 → 브랜드를 운용하되 하부구조는 카테고리별로 독립적인 포지션을 갖게하는), 집중/표준화 (맥도날드의 작업과정 단순화), 그리고 가치사슬의 우회(아마존닷컴 ex. 중개인 퇴출) 등이다.
p97) 사우스웨스트의 변신 → 단순함의 법칙 (심플), 경쟁사를 그레이 하운드로 정함.
이건 잘 생각해야 겠다. 항공사를 하려고 했는데 그레이 하운드로 정한건지, 버스회사로 그레이 하운드를 경쟁으로 했는데 차별화를 한 건지. 이건 재미있는 tie이다.
* 혁신만큼 모방을 기꺼이 수용하고, 존중하고, 장려하려는 문화와 사고방식이 중요하다.
* 모방활동 때문에 생길 수 있는 '베끼는 기업'이라는 오명이다. 모방이 상 받는거 봤는가? 하지만, 베끼기를 잘 해서 creative하게 했다면, 이건 다른 문제라고 생각해야 한다. 개선이라는 이름으로 봐야하지 않을까?
* 역전기업 : 법적 장애물, 규제, 실효성있는 모방을 하는데 뒤따르는 기술적 어려움, 내부의 저항, 시장 독점에 대한 도전등에 직면했지만, 상황을 뒤집는 기업을 말한다. 보통 이미 제품이 나와 있을 때는 시간차이를 감안한 철저한 상황분석과 철저한 연구가 필요하다.